반응형

스터디 노트(수의학, 생물학, 기초과학 등) 14

근섬유 구성과 수축과정

포유류 가로무늬 근육의 수축 동안 양쪽에 있는 얇은 필라멘트가 A 밴드의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미끄러진다. 이러한 근섬유들이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 얇은 필라멘트가 그들이 부착된 Z 디스크를 더 가까이 끌어당기므로, 전체 근섬유길이는 곧 짧아진다. 근섬유의 길이 전체에 걸쳐 모든 근섬유분절(sarcomere)가 동시에 짧아지기 때문에 섬유 전체가 짧아진다. 이것은 근육수축의 슬라이딩필름 메커니즘(슬라이딩 이론)으로 알려져 있는데, 1954년에 휴 헉슬리와 장 핸슨, 앤드류 헉슬리와 R이라는 두 개의 분리된 팀이 처음 제안하였다. 비록 길이가 상당히 작지만 비척추동물 가로무늬 근육도 이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얇은 필라멘트가 닿지 않는 A 대역의 중앙에 있는 지역인 H존은 얇은 필라..

혈액의 구성, circulating fluid, 지질의 순환 방법, 호흡색소

우리몸을 순환하는 유체, 체액(fluid)은 크게 두가지 구성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혈장과 세포 성분들이다. 혈장의 경우에는 물을 포함하는 다양하고 널리 퍼져있는 분자들로 구성된 것이며 세포 성분의 경우에는 전문화된 종류의 세포들로 구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혈액림프에는 혈구라고 불리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혈액응고 기능을 하기도 하며 산소 운반을 맡는다. 척추동물에는 이러한 기능들이 혈장속에 3가지 특별하고 구체화된 세포들에 의해서 시행된다. 첫 번째로는 흔히 적혈구라고 불리는 Erythrocytes이다. 산소 운반이 주 역할이다. 두번째로는 백혈구인 Leukocytes이다. 주로 면역을 담당한다. 세번째는 혈소판이다. 혈액의 응고를 담당한다. Hematocrit이라고 ..

신장의 생리 - 레닌 분비의 조절 기작(Control of renin secretion)

우리몸에 혈압이 떨어지게 되면 혈압을 정상적으로 다시 되돌려 놓기 위해 여러가지 몸속의 혈압조절 기전들이 일어난다 그 중,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체계가 대표적이다 신장의 방사구체세포(Juxtaglomerular cells)에서 레닌(Renin)이 분비되고, 안지오텐신1을 거쳐 안지오텐신2가 활성화된다. 안지오텐신2는 근위세뇨관(Proximal tubule)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집합관(Collecting duct)의 Principle cells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관장한다. 나트륨의 재흡수는 교감신경(Sympathetic stimulation)자극에 의해서 촉진된다. 근위세뇨관의 Na/H transport을 활발케해서 촉진시킨다 1. 교감신경 ..

신장의 기능 및 생리(Basic renal physiology)

1. 신장의 기능 신장은 우리 몸에서 중요하고 다양한 일들을 수행한다. - 필터의 기능: 대사 산물이자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요소, 요산, 크레아틴, 빌리루빈 그리고 기타 약물이나 식품 첨가제, 독소와 같은 외부 화학물질 등이 있다. - 전해질을 조절함으로써 중요한 내부 환경을 유지한다. (Na+, K+, Cl-, Ca2+, Mg2+, PO42-, H+) - 체내 삼투압과 체액 부피를 물과 소금 함량을 통하여 조절한다. - 신장은 혈압과 칼슘대사 그리고 혈구 생산 등에 중요한 호르몬들을 생산하고, 활성화 시킨다. - 레닌(Renin): 혈류아 혈압, 나트륨 조절 등에 관여 - 1,25-dihydroxycholecalciferol(calcitriol) : 비타민D의 활성화 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