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몸에 혈압이 떨어지게 되면 혈압을 정상적으로 다시 되돌려 놓기 위해 여러가지 몸속의 혈압조절 기전들이 일어난다
그 중,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체계가 대표적이다
신장의 방사구체세포(Juxtaglomerular cells)에서 레닌(Renin)이 분비되고, 안지오텐신1을 거쳐 안지오텐신2가 활성화된다.
안지오텐신2는 근위세뇨관(Proximal tubule)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집합관(Collecting duct)의 Principle cells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관장한다.
나트륨의 재흡수는 교감신경(Sympathetic stimulation)자극에 의해서 촉진된다. 근위세뇨관의 Na/H transport을 활발케해서 촉진시킨다
<레닌의 분비 조절 기작>
1. 교감신경
세포외액의 압력이나 양이 줄어들게 되면 교감신경이 자극된다. 이때 방사구체세포에서 레닌이 분비된다.
교감신경 뉴런의 말단이 방사구체세포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베타1-adrenergic receptors를 통해서 직접적인 자극을 가해 레닌 분비가 된다.
2. 신장내 압력 수용기
방사구체세포가 늘어나는 정도가 감소하게 되면(Decreased strech on juxtaglomerular cells) 레닌 분비가 촉진된다
방사구체세포가 수입관동맥의 압력이나 혈관 내 부피를 모니터 한다. 동맥압력이 줄어들면 레닌분비가 되고, 동맥압력이 증가하면 레닌 분비가 억제된다
3. 치밀반
혈관속의 NaCl정도를 감지하여 도달하는 NaCl의 양이 줄어들면, 레닌분비가 촉진된다
여기서 치밀반은, NaCl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 ANP (Atrial Natriuretic Peptide Actions)>
레닌과 반대로 작용하는 호르몬으로, 심방에서 합성되어 이뇨촉진, 혈관확장, 혈압강하 등의 작용을 하는 호르몬이다
1. GFR을 증가시키고, 수입동맥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2.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억제한다 - 레닌 분비 억제
3. 나트륨의 재훕수를 막는다
4. 뇌하수체 후엽에서 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 ADH)의 분비를 억제하고, 집합관에서 항이뇨호르몬에 대한 반응을 줄인다.
'스터디 노트(수의학, 생물학, 기초과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의 개요, 시냅스 신호 전달, 탈분극 방법 (0) | 2019.06.27 |
---|---|
단백질의 개요, 단백질의 접힘(Protein folding) (0) | 2019.06.26 |
근섬유 구성과 수축과정 (0) | 2019.06.26 |
혈액의 구성, circulating fluid, 지질의 순환 방법, 호흡색소 (0) | 2019.06.26 |
신장의 기능 및 생리(Basic renal physiology) (0) | 2019.06.01 |